"명상 종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통찰명상)
(마음빼기 명상)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5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명상]]
 
[[분류:명상]]
 
== 개요 ==  
 
== 개요 ==  
명상의 종류로 수행법으로 분류했을때는 집중명상, 통찰명상, 초월명상, 빼기명상이 있습니다.  
+
[[명상]]의 종류로 수행법으로 분류했을때는 집중명상, 통찰명상, 초월명상, 빼기명상이 있습니다.  
 
또 방법으로 분류했을때는 호흡명상, 걷기명상, 자애명상, 위빠사나, 마음수련<ref>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아니라 돌아보고 그 마음을 빼고 버리는 마음수련 명상법도 있다.</ref>등 많은 명상법이 있습니다.
 
또 방법으로 분류했을때는 호흡명상, 걷기명상, 자애명상, 위빠사나, 마음수련<ref>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아니라 돌아보고 그 마음을 빼고 버리는 마음수련 명상법도 있다.</ref>등 많은 명상법이 있습니다.
  
=== 집중명상 ===
+
== 집중명상 ==
집중이란 호흡과 같은 특정한 대상에 머물러서 마음이 고요해진 상태를 말한다.
+
집중이란 호흡과 같은 특정한 대상에 [[마음]]을 머물게 하여 알아차림을 유지하면서 마음이 고요하고 평화스러운 상태에 이르게 하는 명상활동을 말한다.
 +
집중명상은 근심과 걱정으로 산란해진 마음을 어떤 대상에 머물러 집중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마음이 고요하고 평화로운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이 활동에서 집중하는 대상은 실생활의 어떤 대상이 아니라 마음에 의해 구성된 표상(nimitta)이다. 예를 들어, 벽에 있는 어떤 한 점을 본 다음 눈을 감으면 그 점의 이미지가 눈앞에 나타난다. 눈앞에 나타난 점의 이미지에 반복해서 집중을 하면 그 점이 더욱더 선명해지고 일정 기간 유지되는데, 이를 집중명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br/>
 +
집중명상의 과정은 준비단계인 집지, 머물기 단계인 장려, 몰입단계인 삼매의 세 단계로 이루어 진다.
  
=== 통찰명상 ===
+
== 통찰명상 ==
인간의 신체적 감각, 느낌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게 되면 욕망과 고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정신적 훈련
+
인간의 신체적 감각, 느낌,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게 되면 욕망과 고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정신적 훈련
  
* 위빠사나
 
위빠사나(vipassanā, 觀)는 세간 ( 세상 일반. 영원하지 않은 것들이 서로 모여 있는 우주 공간 ) 의 진실한 모습을 본다, 혹은 분석적으로 본다는 뜻이다. 여기서 분석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편견이나 욕구를 개입시키지 않고 현상을 현상 자체로 보는 것이다. 즉 어느 한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여 고요한 상태를 얻은 후에 끊임없이 변화하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수행을 말한다.이것은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수행법으로서 초기 불교부터 매우 중요시되어왔다. 현재는 주로 실론, 버어마 등 남방불교의 승려들과 재가 신자들에 의해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붓다의 수행법을 보존하고 발전시켜 왔다는 그들의 자부심은 대단하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 등 화두를 가지고 참선수행을 주로 하는 대승불교 국가에서는 이것을 소승의 수행법이라고 폄하하는 경향이 있지만, 붓다의 수행법을 소승 운운하는 것은 지나친 감이 있다. 위빠사나 수행의 특성은 우선 현재적 성격에 있다. 예를 들어 호흡에 의식을 집중하는 경우, 호흡이야말로 현재의 순간 순간에 명멸하고 있는 가장 현재적인 사건이다. 과거에 이미 행해진 호흡이나 미래에 하게 될 호흡은 결코 관찰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에 호흡에 집중라는 것만으로도 바로 지금 이 자리를 벗어나지 않는 선정이 되는 것이다. 초기 불교에서 현재성을 강조하는 것은 경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 자아나 유일신과 같은 ) 대상에 대한 탐구를 거부한다는 의미가 있다.
 
현존재가 당면하고 있는 괴로움을 벗기 위해 필요한 것은 괴로움의 근원과 그 구조에 대한 이해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명상의 대상은 반드시 구체적으로 경험되는 대상이 되어야 한다. 있는 그대로의 실상을 관찰하여 일체의 사물이 무상하고, 무아이며, 따라서 괴로움이라는 것을 직관하는 것이 이 수행의 핵심이다. 이 때, 직관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직관에 대한 명확한 인지이다. 경전에서 말하고 있는 위빠사나의 대상은 몸, 감각, 마음, 생각의 대상 등 네 가지이다. 그 어떤 경우에도 현재 순간에 일어나고 있는 하나의 현상에 마음을 집중하여 붓다가 가르친 바 사물의 진실한 모습을 관찰하는 것이다. 위빠사나 수행법의 장점은 우선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든 언어 동작이 수행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현상에건 반드시 하나의 대상에 마음을 집중한다. 특별한 일이 없을 때에는 호흡과 호흡에 따른 몸의 변화를 관찰한다. 어떤 감각이 생기면 그 감각에 마음을 집중한다. 무슨 걱정거리가 생각나면 그 걱정거리에만 마음을 집중한다. 망상이 떠오르면 망상에 집중한다. 그러다가 걷거나 눕거나 무엇을 만지거나 하는 등 어떤 동작을 취하게 되면 그 동작의 극히 미세한 부분까지 자각할 수 있게 마음을 집중한다.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 초월명상 ===
 
박타요가(만트라 수행법)에 기원을 둔것으로 1959년 인도의 과학자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명상형태
 
* 초월명상(약어)
 
  
=== 빼기명상 ===
+
===[[위빠사나]] ===
마음을 버리고 빼는 방법을 통한 명상
+
'''위빠사나(Vipassana, 觀)'''는 세상의 진실된 모습을 편견이나 욕망 없이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불교의 수행법이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방법으로, 특정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여 변화하는 현상을 분석적으로 바라보는 데 중점을 둔다. 위빠사나는 현재의 순간을 깊이 체험하며, 무상(모든 것은 변함), 무아(고정된 자아 없음), 괴로움의 진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마음수련
+
 
 +
위빠사나의 수행 대상은 호흡, 감각, 마음, 생각 등의 네 가지로 나뉘며,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수행자는 변화하는 현상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현재 순간에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관찰하면서 마음의 깊은 집중력과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수행자는 삶의 모든 순간을 명상의 장으로 활용하며, 내면의 통찰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
 
 +
이 수행법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호흡, 걷기, 감각, 동작 등 일상적인 행위가 모두 수행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행자는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깨어있는 마음을 유지하고, 변화하는 모든 순간을 자각하게 된다. 위빠사나는 현재에 집중하는 명상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내면의 변화를 이끌어내며,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강력한 수행법으로 평가받는다.
 +
 
 +
===[[마음챙김]] ===
 +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있는 그대로 수용적이고 깨어있는 태도로 자각하는 마음 수행법으로, 불교 수행 전통에서 기원하여 현대에는 스트레스 관리와 인지행동 치료 등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 수행은 생각과 욕구를 배제하고 순수한 주의로 현재의 경험을 관찰하는 것으로, 판단이나 분석, 평가를 멈추고 오로지 현재에 머무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마음챙김 명상은 '나'라는 동일시된 생각과 욕구를 내려놓아 순수한 관찰자가 되는 훈련을 통해 자신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고자 합니다.
 +
 +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편견 없이 자각하는 심리적 수행법으로, 불교 전통에서 기원해 스트레스 관리와 인지행동 치료에도 응용됩니다. 이를 통해 생각과 욕구 없이 순수한 주의로 현상을 관찰하며, 판단을 내려놓고 현재에 집중합니다. 마음챙김 명상의 주요 요소로는 '''비판단, 인내, 초심자의 마음, 신뢰, 비쟁취, 수용, 비집착'''이 있으며, 다양한 훈련(건포도 먹기, 보디스캔, 정좌명상, 하타요가, 걷기명상, 일상생활 속 알아차림)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깊이 관찰하고 통찰력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 [[초월명상]] ==
 +
'''초월명상(Transcendental Meditation, TM)'''은 힌두교의 전통적인 수행법에서 유래하여 서양에 간소화된 형태로 소개된 명상법이다.
 +
주로 만트라(Mantra)를 반복하면서 완전한 내면의 평정 상태에 도달해 상식적인 의식 세계를 초월하고 삶의 본질과 신비한 경지를 깨닫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월명상은 특히 각성, 수면, 꿈과 같은 상태를 초월하며, 박티 요가(Bhakti yoga)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인도의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Maharishi Mahesh Yogi)가 1959년에 미국에 소개하면서 서양에서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
 
 +
== [[마음빼기 명상]] ==
 +
'''마음빼기 명상'''이란 스트레스의 마음을 빼기하는 명상이다.<br/>
 +
마음수련 명상센터에서 자기를 돌아보고 마음을 비워 본성을 되찾는다. 내가 가진 수많은 생각과 마음은 산 삶에서 비롯되고 그것을 비울수록 원래 본성이 드러난다는 원리.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가면 누구나 완성이 될수가 있다고 한다. 명상 방법을 마음수련 명상센터에서 배울 수 있다.
 +
* [[마음수련]]
 
[http://meditationlife.org 공식사이트]
 
[http://meditationlife.org 공식사이트]
  
=== 기타 ===
+
== 도구를 사용하는 명상 ==
명상은 마음을 집중하여 대체의약 또는 심리치료의 성격도 있고 전통적으로는 명상을 지도하는 수행단체나 종교단체의 이념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고 여러가지 종류의 명상을 잘 검토하여 선택해야 한다.
+
* 싱잉볼 명상 <br/>
 +
싱잉볼(Singing Bowl) 명상은 7가지의 금속의 만들어진 그릇이다.
 +
싱잉볼이 울리면서 풍부하고 복합적인 톤의 진동이 몸과 마음을 정화시키고 힐링하게 한다.
 +
즉 싱잉볼을 치면 나오는 공명음은 사람의 뇌파를 알파파, 세타파로 낮추게 하고 소리를 듣는것만으로
 +
[[명상]] 상태에 들어가게 도와주는 것이다.
 +
 
 +
== 기타 ==
 +
[[명상]]은 마음을 집중하여 대체의약 또는 심리치료의 성격도 있고 전통적으로는 명상을 지도하는 수행단체나 종교단체의 이념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고 여러가지 종류의 명상을 잘 검토하여 선택해야 한다.

2024년 11월 20일 (수) 16:07 기준 최신판

개요

명상의 종류로 수행법으로 분류했을때는 집중명상, 통찰명상, 초월명상, 빼기명상이 있습니다. 또 방법으로 분류했을때는 호흡명상, 걷기명상, 자애명상, 위빠사나, 마음수련[1]등 많은 명상법이 있습니다.

집중명상

집중이란 호흡과 같은 특정한 대상에 마음을 머물게 하여 알아차림을 유지하면서 마음이 고요하고 평화스러운 상태에 이르게 하는 명상활동을 말한다. 집중명상은 근심과 걱정으로 산란해진 마음을 어떤 대상에 머물러 집중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마음이 고요하고 평화로운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이 활동에서 집중하는 대상은 실생활의 어떤 대상이 아니라 마음에 의해 구성된 표상(nimitta)이다. 예를 들어, 벽에 있는 어떤 한 점을 본 다음 눈을 감으면 그 점의 이미지가 눈앞에 나타난다. 눈앞에 나타난 점의 이미지에 반복해서 집중을 하면 그 점이 더욱더 선명해지고 일정 기간 유지되는데, 이를 집중명상이라고 하는 것이다.
집중명상의 과정은 준비단계인 집지, 머물기 단계인 장려, 몰입단계인 삼매의 세 단계로 이루어 진다.

통찰명상

인간의 신체적 감각, 느낌, 부정적인 감정을 알아차리고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게 되면 욕망과 고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정신적 훈련


위빠사나

위빠사나(Vipassana, 觀)는 세상의 진실된 모습을 편견이나 욕망 없이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불교의 수행법이다.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방법으로, 특정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여 변화하는 현상을 분석적으로 바라보는 데 중점을 둔다. 위빠사나는 현재의 순간을 깊이 체험하며, 무상(모든 것은 변함), 무아(고정된 자아 없음), 괴로움의 진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빠사나의 수행 대상은 호흡, 감각, 마음, 생각 등의 네 가지로 나뉘며, 모든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수행자는 변화하는 현상을 편견 없이 바라보고, 현재 순간에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관찰하면서 마음의 깊은 집중력과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수행자는 삶의 모든 순간을 명상의 장으로 활용하며, 내면의 통찰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이 수행법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실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호흡, 걷기, 감각, 동작 등 일상적인 행위가 모두 수행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행자는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깨어있는 마음을 유지하고, 변화하는 모든 순간을 자각하게 된다. 위빠사나는 현재에 집중하는 명상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고, 내면의 변화를 이끌어내며, 궁극적으로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길을 제시하는 강력한 수행법으로 평가받는다.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있는 그대로 수용적이고 깨어있는 태도로 자각하는 마음 수행법으로, 불교 수행 전통에서 기원하여 현대에는 스트레스 관리와 인지행동 치료 등에도 응용되고 있습니다. 이 수행은 생각과 욕구를 배제하고 순수한 주의로 현재의 경험을 관찰하는 것으로, 판단이나 분석, 평가를 멈추고 오로지 현재에 머무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마음챙김 명상은 '나'라는 동일시된 생각과 욕구를 내려놓아 순수한 관찰자가 되는 훈련을 통해 자신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고자 합니다.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을 편견 없이 자각하는 심리적 수행법으로, 불교 전통에서 기원해 스트레스 관리와 인지행동 치료에도 응용됩니다. 이를 통해 생각과 욕구 없이 순수한 주의로 현상을 관찰하며, 판단을 내려놓고 현재에 집중합니다. 마음챙김 명상의 주요 요소로는 비판단, 인내, 초심자의 마음, 신뢰, 비쟁취, 수용, 비집착이 있으며, 다양한 훈련(건포도 먹기, 보디스캔, 정좌명상, 하타요가, 걷기명상, 일상생활 속 알아차림)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깊이 관찰하고 통찰력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초월명상

초월명상(Transcendental Meditation, TM)은 힌두교의 전통적인 수행법에서 유래하여 서양에 간소화된 형태로 소개된 명상법이다. 주로 만트라(Mantra)를 반복하면서 완전한 내면의 평정 상태에 도달해 상식적인 의식 세계를 초월하고 삶의 본질과 신비한 경지를 깨닫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월명상은 특히 각성, 수면, 꿈과 같은 상태를 초월하며, 박티 요가(Bhakti yoga)에 기원을 두고 있다. 인도의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Maharishi Mahesh Yogi)가 1959년에 미국에 소개하면서 서양에서 대중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마음빼기 명상

마음빼기 명상이란 스트레스의 마음을 빼기하는 명상이다.
마음수련 명상센터에서 자기를 돌아보고 마음을 비워 본성을 되찾는다. 내가 가진 수많은 생각과 마음은 산 삶에서 비롯되고 그것을 비울수록 원래 본성이 드러난다는 원리. 본래의 마음으로 돌아가면 누구나 완성이 될수가 있다고 한다. 명상 방법을 마음수련 명상센터에서 배울 수 있다.

공식사이트

도구를 사용하는 명상

  • 싱잉볼 명상

싱잉볼(Singing Bowl) 명상은 7가지의 금속의 만들어진 그릇이다. 싱잉볼이 울리면서 풍부하고 복합적인 톤의 진동이 몸과 마음을 정화시키고 힐링하게 한다. 즉 싱잉볼을 치면 나오는 공명음은 사람의 뇌파를 알파파, 세타파로 낮추게 하고 소리를 듣는것만으로 명상 상태에 들어가게 도와주는 것이다.

기타

명상은 마음을 집중하여 대체의약 또는 심리치료의 성격도 있고 전통적으로는 명상을 지도하는 수행단체나 종교단체의 이념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고 여러가지 종류의 명상을 잘 검토하여 선택해야 한다.

  1.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아니라 돌아보고 그 마음을 빼고 버리는 마음수련 명상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