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수련 논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성 분야)
(건강 분야)
39번째 줄: 39번째 줄:
  
 
=== 건강 분야 ===
 
=== 건강 분야 ===
 +
 
1.'''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정준용(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br>  
 
1.'''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정준용(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br>  
마음수련 명상이 깊은 수준의 통찰을 유발하여 홧병증상에 뚜렷한 치유적 효과가 있으며 정신건강 상태의 호전에도 뚜렷한 효과가 있는 연구 결과
+
 
 +
  1-1 연구목적
 +
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
 +
 
 +
  1-2 연구대상
 +
충남 논산 소재 마음수련교육원에서 매주 단위로 실시하는 마음수련 8단계과정 중 1단계과정에 2006년 4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7주간 7차에 걸쳐 신규로 참가한 불특정 일반인 120명을 대상으로 함. 이중 홧병 대상자 집단은 30명이었으며, 비홧병대상자 집단은 90명임. 불특정 일반인들 중에서 마음수련 명상 1과정에 참가한 사람을 대상으로 총 7차에 걸쳐 홧병 대상자와 비 홧병 대상자를 누적집계하여 실시한 연구임
 +
 
 +
  1-3 연구결과
 +
첫째, 마음수련 명상이 깊은 수준의 통찰을 유발한다.
 +
둘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홧병증상 변화는 사전 사후 검사의 t검증 결과 홧병·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에서 핵심적 증상, 신체적 증상, 정식적 증상, 고통지수의 각 차원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
셋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는 홧병 ·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적대감, 불안, 공황불안, 편집증, 정신증 모든 영역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
넷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자존감 변화는 사전 사후 검사결과 홧병대상자 집단과 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
다섯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화' 감정처리방식 변화는 홧병대상자 집단의 '분노억제', '분노상황', '적대관점'에서 긍정적 변화를 나타냈으며, 비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분노각성', '분노상황', '분노억제', '적대관점', '분노행동' 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
여섯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대처방식 변화는 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긍정해석'과 '소극철수'에서 긍정적인 변화가있었고 비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정서표출', '긍정해석', '정서지원', '동화', '고집', '적극대처', '소극철수'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 조직 문화 ===
 
=== 조직 문화 ===
 
1.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통한 조직 리더의 전환적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김미진(2014)'''
 
1.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통한 조직 리더의 전환적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김미진(2014)'''

2019년 5월 9일 (목) 00:20 판

개요

마음수련 명상의 효과와 관련된 여러 논문을 분야별로 나누어보았다.

교육 분야

1.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마음수련의 교육 효과 분석 | 정기언 오만록(2009)

 1-1 연구목적
전인교육을 위한 교과의 하나로 개설되고 있는 마음수련의 교육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교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논문임
 1-2 연구내용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설정한 연구내용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실험집단/통제집단 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차를 확인함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 검사/사후검사 간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차를 확인함.
셋째, 실험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차를 확인함.
넷째, '마음수련' 교과의 교육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 운영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
연구 참여자로서 실험집단은 '마음수련'의 수강학생이며, 통제집단은 '현대인과 스포츠'의 수강학생임.

 1-3 연구결과
'마음수련'의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집단/통제집단 및 사전 검사/사후 검사 간의 스트레스,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차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수강 학생들의 자유반응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에 의하면, 주관적 인식과 태도를(자신, 세상, 삶에 대한 인식/태도)에 있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와 수강 학생들이 제안한 수업 개선에 관한 내용들을 종합 하면, 교양 운영에 있어 전문성 강화, 시간 편성 체제 개선, 교과 담당 교수진의 질적 수준 제고, 새로운 교수법 개발 및 적용,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업 참여 유도, 교육 효과 측정 도구 개발, 후수 교과나 심화 과정 개설, 강좌 당 학급 규모 축소, 수련에 적합한 소형 강의실과 멀티미디어 시설 확보, 상담실 설치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성 분야

1. 마음 비우기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2006) | 조현학

 1-1 연구목적
마음 비우기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1-2 연구대상
경남 김해시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8학급 중 두 학급을 무작위로 뽑아 한반은 통제집단, 한반은 실험집단으로 나눔.
각 반의 인원수는 32명이며, 6주에 걸쳐 매주 2-3회씩 매회 30분씩 총 14회의 마음비우기 명상을 실시함. 
마음수련 방법으로 총 8과정까지의 과정 중에서 1과정 방법만을 사용한 마음비우기 명상이며, 매회기마다 마음의 내용은 자신이 살면서 만난 인연과 공부, 공격적인 장면에 나타난 마음으로 구성함.
 1-3 연구결과 
첫째, 마음비우기 명상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공격성 점수가 감소되었으며,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가설은 긍정되있다.
둘째, 본 연구의 결론은 마음비우기 명상이 남자 중학생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공격성이 감소되었다는 것은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남을 배려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마음비우기 명상이 공격성 감소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삶의 태도와 남을 배려하는 방법의 하나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시사해 주었다.

건강 분야

1.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 정준용(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1-1 연구목적
마음수련 명상이 홧병증상과 정신건강 상태, 자존감,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
 1-2 연구대상
충남 논산 소재 마음수련교육원에서 매주 단위로 실시하는 마음수련 8단계과정 중 1단계과정에 2006년 4월 1일부터 5월 20일까지 총 7주간 7차에 걸쳐 신규로 참가한 불특정 일반인 120명을 대상으로 함. 이중 홧병 대상자 집단은 30명이었으며, 비홧병대상자 집단은 90명임. 불특정 일반인들 중에서 마음수련 명상 1과정에 참가한 사람을 대상으로 총 7차에 걸쳐 홧병 대상자와 비 홧병 대상자를 누적집계하여 실시한 연구임
 1-3 연구결과
첫째, 마음수련 명상이 깊은 수준의 통찰을 유발한다.
둘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홧병증상 변화는 사전 사후 검사의 t검증 결과 홧병·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에서 핵심적 증상, 신체적 증상, 정식적 증상, 고통지수의 각 차원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정신건강 상태 변화는 홧병 ·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적대감, 불안, 공황불안, 편집증, 정신증 모든 영역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넷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자존감 변화는 사전 사후 검사결과 홧병대상자 집단과 비홧병대상자 집단 모두에서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화' 감정처리방식 변화는 홧병대상자 집단의 '분노억제', '분노상황', '적대관점'에서 긍정적 변화를 나타냈으며, 비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분노각성', '분노상황', '분노억제', '적대관점', '분노행동' 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여섯째, 마음수련 명상 후의 대처방식 변화는 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긍정해석'과 '소극철수'에서 긍정적인 변화가있었고 비홧병대상자 집단에서는 '정서표출', '긍정해석', '정서지원', '동화', '고집', '적극대처', '소극철수'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조직 문화

1.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을 통한 조직 리더의 전환적 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김미진(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