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다스리는 방법

Audrey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0월 1일 (화) 13:55 판 (방법(팁))

개요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 소개하는 글이다. 흔히 '마음을 잘 먹어라','마음을 곱게 써야 한다','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라는 말들을 하곤 한다. 또는 '그게 마음대로 되나' 라는 말도 있다. 그 마음이란 무엇일까. 자기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자기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고 자기 행동에 영향을 주는 마음을 조절하는 방법들을 찾아야 한다.

방법(팁)

1) 과거를 되새김하지 않기
힘들때 부정적인 생각이 많이 들때가 있다 이럴때 일수록 과거의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도록 해야한다. 이런 경우에는 산책, 운동, 호흡, 명상을 통해 뇌에 새로운 정보(시선,소리,냄새)를 전달하여 주의력을 분산시킨다.

2) 가만히 바라보기

마음 상태를 이렇다 저렇다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느끼는 것이다. 다음 내용은 혜민 스님이 지은 책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 쌤앤파커스 출판 ) 에서 발췌하여 부분 수정한 것이다.

1.그저 바라보는 연습

내가 마음을 붙잡지 않고 가만히 내버려두면, 그 마음은 자기가 알아서 저절로 변한다. 마당에 있는 나무를 보듯, 강가에 앉아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듯, 내 것이라는 생각이나 집착 없이 그냥 툭, 놓고 그 느낌을 그저 바라본다. 예를 들어'마음이 울적하다'는 말 뒤에 숨은 언어 이전의 느낌 자체를 2,3분만 숨죽여가며 조용히 관찰하다 보면 미묘하게 그 감정이 계속 변해가는 것이 보인다. 그 울적한 느낌은 '내가 만들어야지 ~.' 하며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연에 따라 잠시 일어난 느낌이었기 때문에, 인연에 따라 또 자기가 알아서 소멸한다. 여기에다 내 스스로가 자꾸 '울적하다, 울적하다.'라고 자꾸 말을 하면서 붙잡게 되면 감정이 변해가는 상태에서도 자꾸 울적한 마음으로 되돌아가 그 느낌만 자꾸 증폭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그 말과 그 생각을 모두 내려놓고, 그 느낌이 올라왔음을 알아채고 그냥 고요히 변하는 모습을 관찰한다.

우리 마음이 세상을 향할 때는 세상사에 쉽게 휩쓸려버리지만, 그 마음이 내면을 향해 있으면 아무리 세상이 소란스럽더라도 중심을 잃지 않고 평안을 찾을 수 있다. 마음을 비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묻는 이들이 많다. '마음을 비워여지...'하고 마음먹고 마음을 비우려 하면 오히려 더 마음이 혼란스러워진다. 왜냐하면 '비워야지...' 하는 것도 사실은 비워야 할 생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생각을 쉬어 마음을 비울 수 있을까? 정답은, 올라오는 그 생각들을 가만히 지켜보면 된다. 지켜보는 순간, 생각은 쉬고 있다.

사람들의 의식은 보통 외부로 향해 있다. 그래서 내가 아닌 다른 사람,혹은 밖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주로 이야기한다. 반대로 수행자는 그 의식을 마음 안으로 돌려서 평생 남 이야기를 하던 버릇을 고쳐 내 마음의 모습을 보고, 그 마음을 알아채려 한다. 우리 안에는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조용히 바라보는 자가 있다. 밖의 일은 수시로 변해도 '바라보는 자'의 의식은 그 일에 상관없이 그저 온전히 현재에 있다. 삶의 고통의 원인은, 내 안의 '바라보는 자'를 잊고 외부의 사건과 대상에 마음을 빼앗긴 채 따라가기 때문이다. 덜 생각하며 살고 싶다면, 사실 아주 간단하다. 마음을 현재에 두면 된다. 생각이나 걱정은 모두 과거나 미래의 영역에 속해 있다. 마음을 현재로 가져오면 생각은 쉬게 된다. 마음속에 올라오는 감정을 생각으로 붙잡지 않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그 감정들이 변하면서 소멸한다. 내가 말을 붙여서 생각으로 붙잡지만 않으면 마음속에 올라온 불편한 감정은 내가 노력하지 않아도 자기 스스로 알아서 나를 그로부터 해방시켜준다. 괴로우면 그것을 붙잡고 있으면서 자꾸 '괴롭다, 괴롭다.' 남들에게 이야기라며 되새기지 말자. 괴로움으로부터 해방되고 싶으면 그 괴로움을 직시하자. 그 녀석의 정체를 보고 있으면 그 모양이 자꾸 변한다. 괴로움, 그 녀석도 그래서 허망한 것이다. 전에 없었던 것이 지금 생겨났다 해도 시간이 지나면 그것들은 다시 전부 사라진다. 경전의 말씀을 듣고 깊은 영혼의 울림이 오더라도, 부처님이나 예수님이 내 앞에 나타난다 하더라도, 이 모든 것은 사실 다 마음의 장난이다. 수행자가 찾는 것은 원래부터 있었던 것을 찾는 것이지 없었는데 새로 생겨난 것을 찾는 것이 아니다.

2. 내 마음과 친해지기 ( 201쪽 ~ 205쪽 )

많은 사람들은 화가 나거나 짜증, 서운함, 미움 등의 감정들이 밀려올 때 그 마음을 내가 다스려야 하는 대상으로만 생각한다. 그 마음을 이해가 필요한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불편한 감정이 내 마음속에 생겼을 때, 그 감정에서 어떤 식으로든 빨리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만 하지, 그 부정적인 마음의 상태를 이해하거나 그 마음과 친해지려고 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아마도 사람들은 '마인드 컨트롤' 혹은 '마음 다스리기'와 같은 표현을 자주 사용하면서도 '마음 알아가기' 혹은 '마음과 친해지기'와 같은 표현은 잘 쓰지 않는 것 같다.

그런데 밀려오는 화, 짜증, 불안, 미움의 감정을 바꾸려고 노력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이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마치 분노, 미움 같은 부정적인 마음 상태가 '진흙'이라고 한다면, 마음이라는 물속에 진흙이 잔뜩 풀어져 온통 진흙탕이 됐는데, 어떻게 하면 그 진흙을 빨리 가라앉힐 수 있느냐고 묻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빨리 진흙을 가라앉히려고, 즉 부정적인 마음을 가라앉혀 평장을 유지하려고, 마음의 물속으로 손을 집어넣어 진흙들을 아래로 아래로 눌러 가라앉혀보자. 결과는 어떤가? 오히려 손의 움직임 때문에 물속의 진흙은 더 어지럽게 흩어지지 않는가? 예를 들어, 누구를 심하게 질투하여 미워하는 마음이 올라왔을 때, 그 마음을 없애고 싶어 다른 좋은 생각을 하려고 애쓰면 애쓸수록 그 미워하는 마음이 다시 비집고 올라오지 않는가? 이러니, 내가 부정적인 마음 상태를 바꿔보겠다고 마음속으로 들어가 뭔가를 하려고 하면,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그 부정적인 마음 상태만 한 번 더 헤집어놓는 결과만을 가져올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어떻게 내 스스로가 진흙탕과도 같은 부정적인 마음을 이해하고 또 그 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을까? 사실 답은 간단하다. 그 올라온 마음을 마치 영화나 드라마를 보듯 제삼자의 입장에서 한발짝 떨어져서 조용히 관조하면 된다. 우리가 보통 잘 모르는 대상을 이해하려고 할 때, 기존에 알았던 생각들을 내려놓고 조용히 그 대상을 관찰하면 되지 않던가? 즉, 진흙탕과도 같은 마음 그릇 안으로 내가 들어가서 어떻게 해보려는 게 아니고, 마음 그릇에서

3) 적극적으로 욕망을 추구하기 원인이 되는 욕망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욕망의 실현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법이다. 이 또한 마음을 다스리는 하나의 길이 될 수가 있다. 물론 사회 통념상 허용되는 범위에서, 남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것이다.

상황별

1) 아이에게 화가 날 때

참고 영상

마음이 안정되지 않을 때,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