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自 스스로 자. 我 나 아, 省 살필 성, 察 살필 찰, 자기(自己)의 마음을 반성(反省)하여 살핌을 뜻한다. 성찰 뜻을 살펴보면 나를 스스로 돌아보는 것인데 단순히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깊게 돌아보며 나 스스로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내가 그동안에 해왔던 일을 되짚어 보면서 그안에 공통된 패턴이나 선택의 다양성에 대해 깨달아 과는 과정입니다. 또 내면적인 부분에 대한 심도있는 관찰과 반성의 의미도 있어 이 단어는 종교와 철학, 심리학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사실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단어는 아닙니다. 오히려 이 부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새로운 발전의 계기가 되고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 사이에서 내 스스로를 더 발전 시킬 수 있습니다.

자기 성찰이란 자기의 언행을 반성하고 살피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사람이 무인도에 혼자가게 되잖아요? 그러면 내가 활발한 사람인지, 수줍음이 많은 사람인지, 공격적인 사람인지, 냉정한 사람인지 어떤 사람인지를 알 수 없습니다. 고립된 상태에서 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사람은 사람과의 관

중요성

자아성찰의 중요성 / 김학권(원광대 인문대학장)

우리 속담에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루란다"라는 말이 있다. 자기의 큰 흉은 모르고 남의 조그마한 결점을 나무라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등잔 밑이 어둡다"라는 속담도 있다. 이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알지 못함을 꼬집은 말이다. 사람의 눈은 밖의 사물은 잘볼 수 있지만 자신의 모습은 잘 보지 못한다. 그러기에 남의 잘못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엄하게 비판하면서도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관대하기 그지없는 것이 우리의 일상적 모습이다. 따라서 자신의 모습을 제대로 보려면 마음의 눈을 통한 성찰이 필요하다. 맹자는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갖게 된 '마음(心)'의 중요성을 역설하면서 "공부에 있어서 무엇보다 먼저 해야 할일은 잃어버린 마음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자기사 기르던 닭이나 개가 없어지면 당장 이것을 찾으려고 힘쓰면서 정작 가장 중요한 본래의 '마음'을 잃어버리고서도 찾을 줄을 모르는 사람들의 부지함을 질타했다. "너 자신을 알라"고 외치던 소크라테스나,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일은 자기 자신을 찾아 자기 자신이 될 줄 아는 일"이라고 말했던 몽떼뉴 역시 진정한 자기 찾기, 즉 자기인식이야말로 우리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임을 역설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물질적 풍요와 감각적 쾌락의 증대를 경쟁적으로 추구한다. 물질만능주의와 쾌락지상주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 스스로를 소외시키고 인간의 존엄성을 무너뜨리며, 삶의 터전을 파괴하면서 점점 공멸의 길로 내닫게 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적 상활에서 인간의 본래적 마음을 회복하여 나와 남이 공생공영하는 태평세계를 구현하고자 진력했던 옛성현의 외침을 오늘날 우리는 시대착오적인 낡은 구호라고 할 수 있을까? 인간의 삶에 대한 보다 진지한 성찰은 사람들로 하여금 물질적 풍요와 감각적 쾌락에 얽매이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주체적으로 활용하여 아름답고 가치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거듭나게 할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은 생명의 존엄성과 타자에 대한 배려의 지혜를 가져다준다. 삶을 귀히여기며 타자을 관대하게 포용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정으로 자신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다. 개인의 삶만이 아니라 인류의 번영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과 사랑에서 비롯되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방법

일기쓰기

일기 쓰기는 '나'의 자아성찰을 위하여 고독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행위이며, 곧 '자아의 정체감을 확립하는 공간'이 된다.

자기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