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성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2번째 줄:
  
 
=== 자아 ===
 
=== 자아 ===
사고, 감정, 의지 등의 여러 작용의 주관자로서 이 여러 작용에 수반하고, 또한 이를 통일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때그때의 사고,감정, 의지의 각 작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성과 동일성을 지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또한 자아의 구체적 내용은 그때그때의 각 작용의 내용과 관계없는 것은 아니며, 그 것들에 반성의 눈을 돌림으로써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자아란 문제의 복잡성이 있다.
+
사고, 감정, 의지 등의 여러 작용의 주관자로서 이 여러 작용에 수반하고, 또한 이를 통일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때그때의 사고,감정, 의지의 각 작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성과 동일성을 지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또한 자아의 구체적 내용은 그때그때의 각 작용의 내용과 관계없는 것은 아니며, 그 것들에 반성의 눈을 돌림으로써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자아란 문제의 복잡성이 있다. 철학상 자아의 자각은 '너 자신을 알라'를 가르친 소크라테스에게서 비롯되는데, 자아의 문제가 철학의 주제로 된 것은 인간의 주체성이 확립되는 근세 이후의 일이다. R.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sum)'라는 명제에 의하여 '생각하는 나'를 정신이라 부르고, 이를 향상적 실체로서 확립했으나, D.흄 등의 영국 경험론은 그때그때의 감각,감정을 떠나서 자아는 없고 그것들의 총체가 바로 자아일 따름이라고 하여 자아의 정신적 실체성을 부인하였다. 이리하여 자아의 정신적 실체성을 주장하는 합리론의 입장과, 그것의 감각적 아양성을 주장하는 경험론의 입장이 서로 대립하는데, 이것에 인식론의 관점에서 해결을 부여한 것이 칸트이다. 칸트는 자아의 실체성은 이를 부인하지만, 그러나 인식의 간,ㅇ성의 근거는 경험적 자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험적 표상(한자)에 필여적으로 수반되지 않으면 안되는 '나는 생각한다'라는 통각, 즉 선험적 자아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독일 관념론의 J.G. 피히테는 이 선험적 자아를 형이상학적으로 절대화하여 전실재를 포괄하는 절대적 자아를 구상하였다.

2022년 2월 21일 (월) 00:39 판

개요

자아

사고, 감정, 의지 등의 여러 작용의 주관자로서 이 여러 작용에 수반하고, 또한 이를 통일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때그때의 사고,감정, 의지의 각 작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성과 동일성을 지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또한 자아의 구체적 내용은 그때그때의 각 작용의 내용과 관계없는 것은 아니며, 그 것들에 반성의 눈을 돌림으로써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다. 여기에 자아란 문제의 복잡성이 있다. 철학상 자아의 자각은 '너 자신을 알라'를 가르친 소크라테스에게서 비롯되는데, 자아의 문제가 철학의 주제로 된 것은 인간의 주체성이 확립되는 근세 이후의 일이다. R.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sum)'라는 명제에 의하여 '생각하는 나'를 정신이라 부르고, 이를 향상적 실체로서 확립했으나, D.흄 등의 영국 경험론은 그때그때의 감각,감정을 떠나서 자아는 없고 그것들의 총체가 바로 자아일 따름이라고 하여 자아의 정신적 실체성을 부인하였다. 이리하여 자아의 정신적 실체성을 주장하는 합리론의 입장과, 그것의 감각적 아양성을 주장하는 경험론의 입장이 서로 대립하는데, 이것에 인식론의 관점에서 해결을 부여한 것이 칸트이다. 칸트는 자아의 실체성은 이를 부인하지만, 그러나 인식의 간,ㅇ성의 근거는 경험적 자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경험적 표상(한자)에 필여적으로 수반되지 않으면 안되는 '나는 생각한다'라는 통각, 즉 선험적 자아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독일 관념론의 J.G. 피히테는 이 선험적 자아를 형이상학적으로 절대화하여 전실재를 포괄하는 절대적 자아를 구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