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중 하나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관리자, 승인된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의미 == [[파일:Istockphoto-1269532812-170667a.jpg]] 단전이란 단(丹) + 전(田) <br> 붉을에너지, 붉음, 밝음,정성스러움 + 경작하고 키우는 밭<br> 우리몸아랫배, 배꼽아래 5 cm 내려가 몸 안쪽으로 5cm 들어가면 위치해있다.<br> 한의학에서는 단전은 삼초라 부르기도 하며 인간이 태어날 때 가지고 나오는 72근의 정(精)즉, 몸 전체의 기운을 관리하는 보이지 않는 장부이다. 삼초의 기능이 부실 할 경우 평상시 기운이 부족하고 의욕이 없으며 성격이 예민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br> ==호흡의 종류== [[파일:화면 캡처 2021-06-09 103540.png]] 단전호흡 의식을 단전에 두면서 행하는 호흡법을 말한다.<br> 코로 숨을 쉬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단전호흡 수련에서의 호흡은 코를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 지지만, 몸안의 기운순환(氣運循環)은 경혈(經穴)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경혈은 태어날 때 많이 열려있지만 성장하면서 스트레스와 경직된 감정, 과식으로 인해 많이 막히게 되는게 현실이다. 그래서 혈이 좁아지고 막히게 되면 건강에 이상을 불러온다. 단전호흡 수련시에는 이렇게 막혀있는 경혈과 경락을 열어서 자신의 내부에서 기를 순환시키고 나아가서 대자연과의 교류를 확대시킨다. 흉식호흡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그 숨이 폐속으로 모여지는 것을 의식하는 호흡법으로 일반적인 호흡법을 말한다. 복식호흡 코를 통하여 폐속으로 숨이 들어가고 나가는데, 의식을 복부에 두며 의식적으로 복부를 팽창 수축시키는 호흡을 말한다 ==유래== 단전호흡이라는 명칭이 쓰여지게 된 것은 원래의 우리 전통 수련법이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중국에서 그들 나름대로의 수련 체계를 만들면서 단학이라는 학문적 체계를 완성하면서 형성된 이름이다. 전통 수련법에서 단전호흡에 대한 어원을 찾아보면 숨쉬기라는 표현을 했다. 쉽게 말하면 호흡법이다. 호흡은 호흡인데 멈추지 말고 돌리는 호흡법을 말한다. 이것을 옛 사람들은 '돌단자리 숨쉬기'라고 표현을 했다. 그러면 무엇을 돌리면서 단련하는 숨쉬기를 가르쳤는가? 바로 心(神), 氣, 血, 精을 돌리면서 숨쉬기를 가르쳤다. 이말을 줄여서 표현하면 돌(돌린다), 단(단련한다)자리 숨쉬기라고 할 수 있다. 중국 단학에서 어떻게 해서 돌단자리 숨쉬기라고 하는 표현을 단전호흡이라고 하는 표현으로 바꾸게 되었는지 알아보자. 먼저 丹田이라는 표현을 만든 배경을 살펴보자. 중국 단학에서는 돌단자리라고 하는 말을 단전이라고 했다. 돌단자리의 뜻을 보면 보이지 않아서 오감으로는 느낄 수 없는 마음의 작용인 神과 氣, 그리고 눈으로 볼 수 있고 쉽게 느낄 수 있는 血과 精을 돌리면서 단련하는 자리라는 뜻이다. 이렇게 넓은 뜻의 神, 氣, 血, 精을 모두 돌리고 단련하는 수련법이 중국 단학 이론에서 氣만을 돌리는 수련으로 변하고 이름도 단전이라고 바꾸었는데 혹자들은 단전이라는 말만 듣고 앞에 설명한 광의의 의미를 생각할 수 있을까? 지금 시중에서 펼쳐지고 있는 단전호흡 수련의 양상을 보면 본래의 뜻을 전하는 곳이 없다. 대부분의 단전호흡 수련에서는 精, 氣 神만을 가지고 논하고 있고 精, 氣, 神에 관한 이론도 잘못된 중국 단학의 이론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말로 체계가 잘 잡혀 있다는 큰 단체는 어느 정도의 정통성이 있어서 수련법의 완벽한 체계를 갖추고는 있으나 본래의 전통 수련법에 대한 깨달음이 없기 때문에 血에 대한 수련법은 아예 취급을 하고 있지 않다. 한번 생각해 보기 바란다. 수련하는 방법은 도사나 산에 사는 도인에게서 배울 수 있다. 하지만 깨달음은 배워서 되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훌륭한 스승이 전해 준 정통 수련법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깨달음에 관한 올바른 이치를 전해주지 않는 것도 깨달음에 관한 문제이다. 이렇게 깨달음이라는 알맹이가 없이 행공 동작만을 가르치다 보면 혹세무민 할 수가 있다. 氣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氣를 이용한 능력을 앞세워 젊은 사람들로 하여금 허상에 얽매이게 하는 많은 실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전호흡이라는 정의를 확실하게 내려보면 우리 몸에서 순환하고 있는 心(神)과 氣와 血과 精을 모두 단련하는 호흡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돌단자리를 단전(丹田)이라고 하는 이름을 붙인데도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다. 血은 그 자체적으로 붉기 때문에 丹이라고 할 수 있고 나머지 心과 氣와 精은 돌면서 우리 몸의 열을 내는 역할을 한다. 열을 낸다고 하는 것은 불을 의미하고 불은 붉게 나타나지 않는가? 이러한 이유 때문에 心(神), 氣, 血, 精을 모두 丹이라고 표현을 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더욱 더 중요한 것이 있는데 田에 관한 의미이다. 돌리면서 단련을 하는 장소가 있다는 것이다. 팔이나 다리에 흐르고 있는 혈관은 단전이라고 하지 않고 그냥 핏줄이라고 한다. 그러면 어떤 자리를 단전(돌단자리)이라고 할 수있는가? 이것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心(神)과 氣로 본 단전, 血과 精으로 본 단전으로 나누어서 본래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역사== 한족 즉 상고사에 나오는 구이구그이 동이족에 의해서 시작한다. 이것의 변천과정을 간단하게 엮어보면 다음과 같다. [밝달법(한사상=밝달사상)에 의한 돌단자리 숨쉬기 -> 인도의 요가 -> 중국의 단학 및 기공] 이렇게 변화되어 온 것을 현대에 와서 1950년대에서 70년대의 사이에 청산선사라고 하는 분께서 우리나라에 국선도라는 이름으로 전했다. 이것을 역사적으로 풀이하는 과정에서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수련법의 시발점이 우리 민족의 전통 돌단자리숨쉬기와 밝달사상에 근거한 것을 전하기 위해서 새롭게 단전요가라는 이름으로 알릴 것이다. 단전요가라는 말은 단전호흡(돌단자리 숨쉬기)과 요가가 똑같은 맥락의 수련법이라는 의미와 단전호흡이 요가의 근원이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방법== 단전호흡은 숨을 들이마셨을 때 배꼽 아랫부분만 부풀어 오르면서 힘이 가되, 척추에는 힘이 가지 않으면서 펴지는 것을 말한다. 중요한 것은 아랫배로만 기운이 차게 하고 배꼽 위까지는 숨을 마시지 않아야 한다.<br> 처음에는 상상으로 시작하지만 깊이가 깊어질수록 명문에 코가 하나 생긴 것처럼 숨을 쉬고 내쉴 때마다 단전에 에너지가 쌓이는 것이 느껴진답니다. ==효과== 단전호흡을 기운의 입장에서 보면, 배꼽 위에서 오목가슴까지 힘이 가지 않고 허리에도 힘이 가지 않으며, 엉덩이 밑 대퇴근 쪽이 힘이 가게 되면서 배 밑바닥까지 기운이 차올라 하단전의 기운이 충만해진다. 그리고 마음이 낮게 가라앉아 여유와 포용력이 생긴다. 또 몸의 무게 중심이 하체로 가니까 상체에 힘이 가지 않아 유연성이 생기고 심신이 가벼워진다. 그래서 단전호흡을 제대로 하면 뱃심, 뒷심, 허릿심이 제대로 생기는 것이다. ==복식호흡과 비교== 복식호흡과 단전호흡을 구분하지 못한 채 아랫배로 숨만 쉬면 단전호흡이라고 잘못 생각하기 쉬운데, 단전호흡과 복식호흡은 천양지차이다. 복식호흡은 기운의 입장에서 보면, 배꼽 위까지 숨이 차오르고 힘이 가서 하단전의 기운이 농축되지 않으며 충만할 수 없다. 마음의 입장에서 보면, 배꼽 위와 허리에 힘이 가면 마음이 그곳에 걸려서 충분히 가라앉을 수 없다. 또 무게 중심으로 보면 하체가 아니라 상체에 머물기 때문에 뱃심, 뒷심, 허릿심이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 ==자료출처== https://blog.daum.net/convoy1/18352167, 심신불이 단전호흡 문서로 돌아갑니다.